주식시장은 주식을 사고팔 수 있는 곳입니다.
우리가 흔히 “주식시장이 상승했다”, “하락했다”라고 할 때는 코스피시장이나 코스닥시장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미국 증시가 상승했다”고 할 때는 미국의 뉴욕증권거래소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의 증권거래소는 한국거래소(KRX)입니다.
한국거래소의 주식시장은 앞에서 배웠듯, 장내시장인 코스피시장과 코스닥시장 그리고 장외시장이 있습니다.
코스피지수
코스피(KOSPI)지수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대표 지수로, 코스피시장의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국내 대표 기업들은 거의 대부분 코스피시장에 상장되어 있으므로, 코스피지수를 ‘종합주가지수’라고도 합니다.
그렇다면 코스피지수는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1980년 1월 4일을 기준시점으로 하여 이날의 코스피시장 시가총액을 기준지수 100으로 잡고, 비교시점의 코스피 시가총액이 얼마나 변했는지를 비교하여 산출합니다.
이를테면 2020년 1월 4일의 코스피지수가 3,000이라면, 코스피시장의 시가총액이
1980년 1월 4일보다 30배나 상승했다는 것이죠.
시가총액에서 시가란 ‘시장가격’을 말합니다. 시가총액은 주식시장에 상장된 모든 주식의 시가를 더한 것이죠. 시가총액은 주식시장 전체 규모 및 상승/하락 흐름을 파악하고, 다른 나라의 주식시장과 비교할 때도 사용합니다.
그럼 코스피 지수에 주목해야 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내가 아무리 좋은 종목을 가지고 있어도 시장 분위기에 휩쓸려 주가가 덩달아 하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면 시장 분위기가 너무 좋으면 내가 보유한 주식의 악재가 묻히며 주가가 같이 오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가의 흐름을 예측하려면 전체 시장의 분위기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그런데 관심종목을 지켜보는 것만으론 시장의 분위기가 상승인지 하락인지 판단하기 어렵겠죠.
코스피지수는 코스피시장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모든 주식을 대상으로 산출한 지수이므로,
전체 시장의 동향을 가장 잘 나타냅니다.
코스피시장이 상승하는 시기에 주식을 사면 단기수익이 날 확률이 높은 반면,
하락기에는 종목을 주의깊게 선택해도 단기적으로는 손실이 날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단기매매를 위해서는 코스피시장의 방향성에 주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기사에 자주 등장하는 세계 대표 주가지수>>
다우지수
미국 주식시장의 대표지수로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라고 합니다.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최우량기업 30개의 주가지수입니다.
편입 종목이 30개에 불과해 미국 시장의 전체 흐름을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S&P500지수
다우지수와 함께 미국의 대표적인 대형주 주가지수입니다.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우량기업 500개의 주가지수로 공업주 400종목, 운송 관련주 20종목, 유틸리티 관련주 40종목, 금융주 40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나스닥지수
미국 나스닥 주식시장에 상장된 5,000개 이상의 벤처기업과 중소기업의 주가지수입니다.
상해주가지수
중국 상해증권거래소(SSE)의 주가지수로, 상해A주가지수(내국인 전용, 위안으로 투자)와 상해B주가지수(외국인 전용, 달러로 투자)가 있습니다. 중국은 두 시장을 하나로 통합할 계획입니다.
홍콩항셍지수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우량기업 50개의 주가지수입니다. 홍콩H지수는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중국 기업 40개의 주가지수입니다.
'경제 > 주식관련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단기투자 vs 장기투자 (1) | 2023.05.18 |
---|---|
[주식] 직접투자 vs 간접투자 (0) | 2023.05.17 |
[주식] 불황기 vs 호황기 - 경기에 따른 주가 (0) | 2023.05.16 |
[주식] 초보자가 꼭 지켜야 할7가지 투자원칙 (1) | 2023.05.16 |
[주식] 단기투자 vs 장기투자 (1) | 2023.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