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공부습관

집에서 혼공하기

cherry-ai 2023. 4. 27. 11:31
반응형


대표적인 목표 설정 방법

 SMART 목표 설정법

가장 일반적인 목표 설정 방법이다. 목표를 SMART하게 세우면 달성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한다. SMART란 다음의 약자다.

 

 S(Specific) : 구체적일 것

 M(Measurable) : 측정이 가능할 것

 A(Achievable) : 성취할 수 있을 것

 R(Realistic) : 현실적일 것

 T(Time-based) : 달성 시기가 있을 것

 

이를테면 ‘독서’를 예로 들어보자. 단순히 ‘인문 고전을 많이 읽고 싶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SMART 목표 설정법을 적용해 이런 식으로 목표를 세울 수 있다.

 

“『논어』를(구체적), 매일 10페이지씩(측정 가능, 성취 가능), 출퇴근 시간에 지하철에서(현실적) 한 달 안에 읽겠다(달성 시기).”

 

 


반복공부

◎ 반복 원칙

① 자신이 아는지 모르는지 확인하며 반복한다

② 이미 아는 부분은 제쳐두고 모르는 부분을 골라내어 반복한다

③ 알 때까지 반복한다

피드백 받기

 문제집 풀이

문제집은 훌륭한 피드백 도구다. 하나의 챕터를 공부한 뒤 즉시 문제집을 꺼내 해당 챕터에 대한 문제를 풀어본다. 이때 복잡한 응용문제보다는 『수학의 정석』에 나오는 예제나 유제처럼 간단한 문제가 적합하다. 내용 확인을 중점으로 두되, 모든 부분을 빠짐없이 다루는 문제집을 고른다. 나는 암기 과목을 공부할 때 교과서의 한 챕터를 읽고 나서 곧바로 문제집의 같은 챕터 풀기를 원칙으로 삼았다.

 

 책을 덮고 확인하는 방법

한 챕터를 공부한 뒤에 책을 덮거나 손으로 가리고 지금 공부한 내용이 머릿속에 온전히 들어갔는지 확인한다. 종이에 써볼 수도 있고, 머릿속으로 떠올려볼 수도 있으며, 누군가에게 설명하듯이 말해볼 수도 있다. 성공적으로 해냈다면 잘하고 있는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아닌 것이다.

 

틈틈이 공부하기

▶ 틈틈이 하는 공부는 언제 어디서든 공부할 수 있다는 발상의 전환에서 나온다.

▶ 틈틈이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두 가지다. ① 그렇게 해야 다른 사람들과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다. ② 몰입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 틈틈이 공부 원칙

① 언제 어디서든 어떻게 공부할 수 있을지 생각한다.

② 단 1분만 있어도 공부한다.

③ 차이는 틈틈이 하는 공부에서 난다는 사실을 명심한다.

▶ 틈틈이 공부 가이드

① 잘 외워지지 않는 모든 것을 수첩에 쓰고 늘 그 수첩을 본다.

② A4 용지를 16등분한 암기 카드를 만들어 활용한다.

③ 스마트폰을 틈틈이 공부하는 도구로 활용한다.

④ 아무것도 손에 들 수 없을 때는 공부한 것을 되새기거나, 머릿속으로 문제를 풀거나, 아이디어를 떠올린다.

 

공부하는 사람의 식사 관리 원칙

① 규칙적인 식사가 공부량을 만든다.

② 중요한 시험이 있는 날처럼 늘 순하게 먹고, 지나치게 매운 음식은 피한다.

③ 폭식과 과식을 멀리하고 적당히 먹는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