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주식관련 소개

[주식] 매도주문 매수주문

cherry-ai 2023. 5. 21. 18:05
반응형

 

현재가 창에서 매수 주문하기

HTS에서 주문창을 열면 주문의 종류가 너무 많아 당황스러울 것입니다.

그래서 실제 주문을 넣을 때는 ‘현재가’ 창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1. HTS 화면 상단 메뉴에서 [주식]키움현재가를 누르세요.

2. ‘현재가’ 창이 열리면 화면 중앙에 세로로 정렬된 ‘수, 도, 투, 외, 차, 뉴, 권, 기’가 보입니다.

여기서 매수를 뜻하는 <수>를 클릭해보세요.

 

 수: 매‘수’를 뜻하며, 해당 주식을 살 수 있는 ‘주식미니주문’ 창을 불러옵니다.

 : 매‘도’를 뜻하며, 해당 주식을 팔 수 있는 ‘주식미니주문’ 창을 불러옵니다.

 투: ‘투’자자를 뜻하며 개인, 외국인, 기관 등의 매매 관련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외: ‘외’국인 거래량의 증감 추이를 보여줍니다.

 차: ‘차’트 창이 나타납니다.

 뉴: 해당 종목과 관련된 ‘뉴’스를 볼 수 있습니다.

 권: ‘권’리에 관한 내용, 즉 공모주청약, 무상증자 등의 일정을 볼 수 있습니다.

 기: 투자의견, 재무분석, 업종분석 등 ‘기’타 관련 정보들이 나옵니다.

 

3. 이제 ‘주식미니주문(매수 주문)’ 창이 열립니다. 

[종류]의 항목란을 누르면 매수 주문의 종류를 선택하는 목록이 열립니다.

‘보통’, ‘시장가’, ‘조건부지정가’ 정도의 주문만 익숙하게 사용하면 큰 무리가 없습니다.

 보통: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지정가 주문’입니다.

매수는 현재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지정해 주문을 넣고, 매도는 현재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지정해 주문을 넣습니다.

현재가보다 싸게 사고 비싸게 팔수 있는 것은 장점이지만, 주문의 일부 혹은 전체가 체결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장가: 가격을 지정하지 않고 수량만 지정해 주문합니다. 기관투자자나 외국인투자자들이 선호하는 방식입니다.

 조건부지정가: 정규 매매시간 동안은 지정가 주문의 성격을 띠지만, 원하는 수량만큼 체결되지 않은 경우 장 마감 10분 전의 단일가 매매시간에 시장가 주문으로 바뀝니다.

 최유리지정가: 시장가 주문처럼 수량만 정해 주문을 넣는 방식이지만, 매수 주문을 넣으면 최우선 매도호가의 가격으로, 매도 주문을 넣으면 최우선 매수호가의 가격으로 주문이 체결됩니다.

시장가 주문과 다른 점은 주문이 체결되어도 원하는 수량만큼은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최우선지정가: 수량만 지정해 주문을 넣는 방식입니다. 매도의 경우 자동으로 최우선 매도호가의 가격으로 주문이 들어가고, 매수의 경우 최우선 매수호가의 가격으로 주문이 들어갑니다.

 ICO&FOK(조건부여 주문): IOC는 ‘일부총족조건 주문’이며, FOK는 ‘전량충족조건 주문’입니다.

IOC의 경우 주문을 넣은 수량의 일부라도 체결되면 나머지 수량은 취소됩니다.

반면 FOK는 전량이 체결되지 않으면 주문이 취소됩니다.

 

현재가 창에서 매도 주문하기

이번에는 ‘현재가’ 창에서 매도 주문을 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HTS 화면 상단 메뉴에서 [주식]→키움현재가를 클릭합니다.

2. ‘현재가’ 창이 나타나면 중앙의 탭 중 매도를 뜻하는 <도>를 클릭합니다.

3. 그럼 매도 주문 창이 열립니다. 참고로 ‘주식미니주문’ 창에서 ‘매도’ 탭을 눌러도 이 창으로 오게 됩니다.

 

질문 주문을 정정하거나 취소하려면‘주식미니주문’ 창의 가장 오른편에 있는 [정정/취소] 누르세요.

여기서 매수나 매도 주문을 정정하거나 취소할 수 있습니다.

 

매수, 매도 주문할 때주의할 점

 

주문이 완전히 숙달되기 전까지는 ‘현재가’ 창에서 ‘수’나 ‘도’ 탭을 눌러 매수나 매도 창을 여는 습관을 들이세요.

‘주식미니주문’ 창에서 왔다갔다 하다가 주문 실수가 많이 일어납니다.

종목을 매도하려고 했는데 매수 주문을 넣거나, 주식을 더 매수하려고 했는데 매도 주문을 넣어버리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이런 실수가 비일비재해서 주문 창의 색을 애초에 다르게 만든 것이죠.

매수 창은 분홍색, 매도 창은 하늘색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