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지정가 거래,시장가 거래
‘현재가’ 창은 거래할 종목의 현재가를 보고 실제로 매매를 하는 창이므로 HTS에서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1. HTS 초기 화면의 상단 메뉴에서 [주식]을 누른 다음, 키움현재가를 클릭하세요.
2. 그러면 화면에 ‘현재가’ 창이 열립니다.
현재가 창은 여러분이 주식을 실제로 매매하는 곳입니다.
이 창에서 자신이 원하는 종목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종목을 불러와볼까요? 창 왼쪽 상단의 검색 아이콘 을 클릭하세요.
4. 그림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 ‘종목명’란에 자신이 원하는 종목의 이름을 넣고 <Enter> 키보드를 치면 그 종목의 ‘현재가’ 창으로 바뀝니다.
지정가 주문 넣기
지정가 주문이란 내가 ‘가격’을 ‘지정’해서 주문을 하는 방식으로,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주식주문’ 창을 보면 ‘보통’이라고 표시되어 있는데, 바로 ‘지정가 주문’ 상태라는 의미입니다.
만약 현재가가 10,000원일 경우, 매수자는 당연히 그보다 싼 가격으로 사고 싶고, 매도자는 그보다 조금 비싼 가격으로 팔고 싶겠죠?
그래서 매수자는 9,990원이나 9,980원으로 지정해 주문을 합니다.
반대로 매도자는 10,050원이나 10,100원에 주문을 걸어두겠죠.
질문 매수자가 지정가를 9,900원으로 주문했는데, 현재가가 10,000원 아래로 내려오지 않고 상승하면 어떻게 되나요?
그럼 당연히 한 주도 살 수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10,100원에 지정가 매도 주문을 했는데 주가가 하락하면 이것도 체결이 안 되겠죠. 이처럼 지정가 주문은 현재가보다 더 싸게 사거나 비싸게 팔 수 있지만, 한 주도 거래가 안 될 수도 있다는 게 단점입니다.
시장가 주문 넣기
‘시장가 주문’은 시장에서 부르는 가격대로 주문을 하는 방식입니다.
이를테면 현재가가 10,000원이고, 매도자들이 10,050원, 10,100원에 매도 주문을 걸어두었다면, 시장가 주문의 경우 이 가격대로 지불하고 사는 것입니다.
시장가 매도 주문도 마찬가지입니다. 주식 매수자가 부르는 가격대로 파는 것이죠.
사실 주가는 지정가로는 움직이지 않습니다. 즉 지정가 주문 가격으로 체결이 안 되는 것이죠.
그런데 시장가 주문은 장 마감 때까지 1주도 없었으므로, 현재가인 10,000원이 그대로 그날의 종가가 됩니다.
이처럼 주가를 움직이는 것은 지정가가 아니라 시장가라는 점을 반드시 기억하세요.
체결
빨간색 숫자는 시장가 매수 주문으로 체결된 수량이고, 파란색 숫자는 시장가 매도 주문으로 체결된 수량입니다.
대부분의 개인투자자들은 ‘현재가’ 창에서 지정가 주문이 걸려 있는 부분을 열심히 보지만, 실제로 더 주목해야 할 부분은 바로 ‘시장가’입니다.
창의 중앙 부분에 있는 [체결] 탭을 클릭해보세요.
실제 가격이 어떻게 체결되고 있는지 시간대별로 자세히 보여줍니다.
지정가 매도 주문이 많은 경우
주식을 사려고 ‘현재가’ 창을 열었을 때, 지정가 매도 주문이 너무 많이 걸려 있으면, 왠지 주가가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밀릴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하지만 시장가 주문이 강하게 들어온다면 그 시점이 바로 매수 타이밍입니다.
지정가 매수 주문이 많은 경우
반대로 주식을 팔려고 현재가 창을 열었을 때, 지정가 매수 주문이 많이 있으면 왠지 안심이 되기도 합니다.
현재가가 10,000원이고 9,980원 정도에 매수 주문이 10만 주 정도로 걸려 있으면, 주가가 그 이하로는 하락할 것 같지 않다는 느낌이 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때도 역시 ‘시장가’로 체결되는 화면을 봐야 합니다.
만약 시장가 매도로 큰 물량이 나온다면 안심할 때가 아니라 주식을 팔아야 할 때입니다.
‘현재가’ 창을 열면 보통 주문으로 급하게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 전에 ‘체결’ 탭을 열어 면밀하게 분석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